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신축 아파트와 구축 아파트에서 실내 알레르겐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또 층 수별로 알레르겐 유입량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수백 년부터 존재해 온 한국의 전통 한옥에서는 알레르겐 유입이 얼마나 클지, 그리고 어떤 요소들이 알레르겐의 원인이 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현대 주거 구조와는 매우 다른 자연친화적 구조를 가진 전통 한옥은 오히려 건강에 유익할 것이라는 인식이 많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부분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전통 한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내 알레르겐의 주요 원인과 그에 따른 대응 방안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전통 한옥의 구조적 특성과 알레르겐과의 관계전통 한옥은 목재, 황토, 한지, 기와 등의 자연 재료를..